티스토리 뷰

반응형

과거에는 당뇨를 노년층이 조심해야 하는 질병으로 여겼지만, 최근에는 식습관과 생활 패턴의 변화로 30~40대의 당뇨 환자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 성인 7명 중 1명, 약 470만 명이 당뇨를 앓고 있을 정도로 매우 흔한 질환이 되었는데요. 당뇨는 단순한 '혈당 상승' 문제가 아니라, 체내 에너지 대사를 조절하는 인슐린의 기능이 저하되어 나타나는 만성 질환입니다.

 

우리가 음식을 섭취하면 당분(포도당)이 혈액을 통해 몸에 공급되고, 인슐린은 이 포도당을 세포 안으로 저장시켜 에너지로 쓰이게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인슐린 기능이 저하되면, 당분은 세포로 흡수되지 못하고 혈액 속에 남아 소변으로 배출되며, 고혈당 상태가 지속됩니다.

 

무서운 점은, 인슐린 기능 저하는 하루아침에 무너지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진행된다는 것인데요. 당뇨 진단을 50대에 받았더라도, 사실은 20~30대부터 생활 습관이 망가지고 있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그래서 당뇨 전단계(5~10년)를 조기에 인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런데 건강검진에서는 왜 안 나올까요?

보통 건강검진을 받을 때 "8시간 이상 금식 후 검사"하라고 안내받죠? 하지만 이런 검사 방식은 공복 혈당만 확인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당뇨 전단계인데도 정상 판정을 받습니다.

이런 분들은 식사 후 혈당(Postprandial Glucose)이 이미 정상 범위를 넘고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식후 1시간 혈당 검사를 병행하는 것이 훨씬 정확한 진단 방법입니다.

당뇨 전단계 신호! 몸이 보내는 4가지 증상

조용히 진행되는 당뇨, 하지만 우리 몸은 이미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다음 4가지 증상이 나타난다면, 지금 바로 혈당 상태를 체크해보세요.

 

1. 갑작스러운 체중 증가

평생 마른 체형이었던 사람이 갑자기 살이 찌기 시작했다면? 음식량은 평소와 다르지 않은데도 체중이 늘어난다면 인슐린 과다 분비를 의심해봐야 합니다.

인슐린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체내 에너지 부족 상태로 오인하고 더 많은 인슐린을 분비하게 됩니다. 그러면 지속적인 허기, 탄수화물 갈망이 생기고, 먹을수록 지방으로 저장, 체중 증가의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2. 식사 후에도 참을 수 없는 허기

인슐린 과다로 인해 혈당이 급격히 떨어지면 저혈당 상태가 됩니다. 이때 가장 큰 영향을 받는 장기가 뇌인데요, 뇌는 오직 포도당만 에너지원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당이 부족하면 극심한 허기와 불안감이 느껴집니다.

평소보다 빵, 면, 단 음식에 집착하거나 사탕 없이는 불안한 느낌이 든다면 혈당 이상 신호일 수 있습니다.

 

3. 이유 없는 피로와 무기력

인슐린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세포에 에너지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조금만 움직여도 피곤하고, 계속 누워 있고 싶고, 일상생활이 버겁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런 전신 무기력감은 단순한 피로가 아니라 혈당 문제로 인한 에너지 대사 저하일 수 있습니다.

 

4. 상처가 잘 낫지 않는다

고혈당 상태에서는 몸의 회복력 자체가 떨어집니다. 작은 상처도 오래 아물지 않거나, 코나 입 안의 염증이 자주 재발하고, 피부가 간질간질하게 가려운 증상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식사 후 몸이 간질간질하거나, 단 음식을 먹은 뒤 몸이 따갑고 불편한 느낌이 든다면 이미 혈당이 높아졌다는 증거일 수 있습니다.

 

지금 당장 할 수 있는 당뇨 예방법은?

✔️ 식후 혈당 1시간 후 측정
✔️ 단 음식보다 복합 탄수화물 위주 식단
✔️ 꾸준한 유산소 운동
✔️ 1년에 1~2번 정기 검진

 

특히 당뇨 가족력이 있다면, 일반인보다 더 조심하셔야 합니다. 생활 속 작은 습관을 바꾸는 것만으로도, 당뇨 전단계에서 건강하게 돌아올 수 있습니다.

 

 

지금 내 몸이 보내는 신호를 절대 무시하지 마세요.

 

반응형